본문바로가기

커뮤니티

커뮤니티>교육정보

“게임하는 아이 그만 다그치세요”…아들교육 위한 엄마의 올바른 자세

By. 관리자

2021-10-21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이제는 비대면 문화가 우리 생활 속 깊이 자리 잡았다. 밖에서 친구를 만나지 못하게 되면서 남자아이들은 게임에 몰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를 바라보는 부모는 혹여나 내 아이가 게임중독이 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한다. 아들교육전문가인 최민준 자라다교육 대표는 유튜브 '교육대기자TV'와의 인터뷰에서 자녀의 게임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게임을 잘 알아야한다'고 조언했다.






Q.코로나19 때문에 밖에 나가지 못해 게임을 하는 아이들이 많아진 것 같다.






A.그렇다. 아이들이 밖에서 만날 기회가 적어지면서 만남의 공간이 게임으로 이동한 것이다. 게임 안에서 친구들끼리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보는 엄마들의 마음은 불안하기만 하다. 자녀가 게임에 중독되지 않을까란 우려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게임 자체를 못하게 막는 부모도 있다. 그런데 만약 게임 문제를 놓고 과도하게 예민하게 반응한다면 아이는 '엄마가 다른 문제는 현명하게 해결해주지만 유독 게임만큼은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게임에서 친목을 이어가는 아이들은 게임을 못하면 친구와의 관계가 깨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부분 엄마는 이를 무시하고 무조건 게임을 하지 말 것을 강요한다. 이때 부모와 아이 사이에 갈등이 생기는 것이다. 자녀가 친구들과 마이크를 연결해 게임을 하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화를 내 아이를 다그치면 아이는 자존심이 상해 반발심이 생길 수 있다. 한 가지 재미난 사실은 대부분 아빠는 자녀가 게임하는 모습을 봐도 크게 나무라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과거 아빠들도 게임을 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Q.반면 엄마들은 게임을 해본 적이 없어서 걱정이 더 많은 것 같다.






A.그래서 나는 엄마들에게 아들이 하는 게임을 시작해보라고 조언한다. 아니면 유튜브를 검색해 게임 스트리머 등을 보면서 게임의 룰을 파악하는 것도 좋다. 우선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자녀가 하는 게임이 어떤 것인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하지 말라고 강요하는 것은 잘못된 접근방식이다. 게임을 모르니까 긍정적 측면이 아닌 부정적인 부분만을 바라보는 것이다.






가끔 '너 아직도 게임하니' '딱 한 판 만 하고 공부해'라는 식으로 말하는데 이러면 오히려 자녀를 통제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아이의 게임을 통제할 때 중요한 것은 '경험'이다. 자녀가 하는 게임을 체험해보고 공감대를 만드는 과정이 우선이다. 엄마가 강요해서 게임을 끄는 것이 아니라 같이 게임을 하면서 아이 스스로 게임을 종료할 수 있도록 지켜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Q. 그런데 이를 내버려두면 아이가 게임만 하게 될 것 같다. 게임 횟수를 조절하도록 관리해야 하지 않을까.






A.별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개인적으로 게임은 성교육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아이가 성에 관심을 가지면 이를 통제하고 감추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성에 대해 교육적으로 생각하고 개방적인 사고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게임은 여전히 과거의 성교육처럼 통제하고 보수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남아있다. 






아이들이 게임을 하는 이유는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자존감 향상에 있다. 실제 상담을 한 아이 중 학교에서는 자존감이 낮았지만 게임 내에서는 이기는 경험을 하면서 자존감을 만드는 경우가 있었다. 때문에 아이가 게임 외에도 자존감을 찾을 수 있는 것들을 단계적으로 찾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과정이 생략된 상태에서 무조건 게임을 줄이라고 하면 아이와 말다툼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엄마는 게임을 줄이라고 말하지만 아들이 느끼기엔 ‘엄마가 자신의 자존감을 만드는 길을 막으려고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게임을 하는 게 뭐가 잘못됐는데’ 등의 반항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Q.엄마들 입장에서는 게임으로 자존감을 높인다는 것에 속상할 수 있다. 칭찬 등으로 자존감을 채워줄 수 있지 않은가.






A.물론 그렇다. 그러나 자존감 형성에 칭찬이 완벽한 정답이 될 순 없다. 아무리 좋은 칭찬이라도 그 안에는 자신에 대한 평가가 들어있기 마련이다. 자존감이 낮아진 상태의 아이는 상대방의 평가에 많이 휘둘릴 수 있다. '상대방이 나를 어떻게 바라볼까' '내 행동을 잘했다고 생각하나' 등 이런 생각에 깊이 빠져 오히려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부모가 아들의 자존감을 올리려고 '우리 아들 너무 잘한다' 등 이런 얘기를 자주 하는데 이는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자존감을 채울 때 중요한 건 자아 효능감과 사회적인 지지다. 단순한 칭찬만으로 이 둘을 충족하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재밌는건 게임이 이 두 가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래서 아이가 게임에 더 빠지는 것이다.






Q.게임과 학습의 공통점이 있다면 바로 성적이 나온다는 것이다. 학습으로 성적이 향상되면 자아 효능감도 높아지지 않을까.






A.우선 엄마가 원하는 방향과 아들이 원하는 방향은 다르다. '게임에서 어느 정도 성적을 냈으니 이제 학습으로 자존감을 올리자'라는 말은 엄마 개인의 바람이다. 아이 입장에서 이 같은 말은 오히려 반감이 들 수 있다. 아이에게 게임은 하나의 관심사고 취미인데 부모가 이를 인정해주지 않고 공부만 강요해선 안 된다는 말이다.






남자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 부모에게 사랑받고 싶어하는 욕구도 있지만 내가 관심이 있는 분야에 1등하고 인정을 받고 싶어하는 경우가 더 많다.






Q.결국 게임 내 커뮤니티에서 자녀가 어떻게 평가받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A.당연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만약 자녀가 게임에 빠져있다면 아이가 하는 게임에 접속해 캐릭터를 만들고 무기를 구매하는 과정부터 시작하라고 추천한다. 온라인 게임에 몰두하고 있는 아이를 학습에 집중시키려고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도 자녀가 자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인데 그 과정이 꼭 학습일 필요는 없다. 부모가 가르칠 수 있는 영역과 아이가 빠져있는 영역과의 교집합이 될 부분을 찾아서 아이의 자존감을 올릴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것이 올바른 부모의 역할이다.


 


 


출처: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0/20/2021102001509.html?utm_source=d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