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능 비문학이란 무엇인가?
- 수능 비문학을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이유는?
수능 국어 비문학을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은 배경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이다. 배경지식은 학교 교과목과 독서, 이곳저곳에서 봐왔던 경험적 지식의 총량이다.
비판적 사고력은 고정관념 탈피, 분석적 사고, 추론능력, 종합적사고, 대안적사고, 논리력, 논증력을 포함한다. 이런 능력을 잘 하기 위한 능력이 문해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즉 문해력이 높으면 비문학 문제도 잘 풀 수 있게 된다.
지난 5년 동안 가장 많이 틀리는 수능 문제를 10개씩 뽑아봤더니 학생들이 가장 많이 틀린 문제의 약 80%가 비문학이었다. 결국 비문학이 수능 국어 성적의 가장 중요한 열쇠라는 말이다. 학생들이 이렇게 어려워하는 비문학,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수능 비문학이란 무엇인가?
수능 국어시험에서는 80분 동안 총 45문항의 문제를 푼다. 그 중에서 비문학은 예전 15문항에서 2문항이 늘어 총 17문항이다. 시험범위는 사회문화, 인문예술, 과학기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인문, 철학, 역사, 경제, 법, 정치, 물리, 화학 생물 같은 과학, 음악, 미술 등의 예술과 관련된 제시문이 나온다.
수능 비문학을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이유는?
수능 비문학이 어려운 이유는 워낙 범위가 넓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다. 요즘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지 않아서 문제라고도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학교 전체에서 배우는 것이지 교과목으로 배우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학교 국어 수업에서 비문학은 제대로 배우지 않는다. 수능에 5문항밖에 나오지 않는 문법은 중1부터 고3까지 정말 오랜 시간 빠짐없이 배운다. 그런데도 학생들은 어려워하고 틀린다.
문학도 현대와 고전을 가리지 않고 어느 학교에서나 중1부터 고3까지 배운다. 그에 비해 비문학은 교과서에 많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수록된 내용들도 실제 수능과는 동떨어진 내용이 대부분이다.
고등학교에 독서라는 과목도 있는데 배우는 학교도 적지만, 배우더라도 실제 수능 비문학과는 느낌이 많이 다르다. 입시와 가장 밀접한 고등학교만 보면 비문학은 한 학기도 안 배우는 학교도 있다. 그나마 비문학을 공부한다고 하는 학교도 문학이나 문법에 비하면 5분의 1, 10분의 1밖에 배우지 않는다.
가장 어려운 영역을 체계적으로 배운 적이 없기 때문에 학생들 입장에서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여기에 평소 공부할 때 비문학을 잘하기 위한 훈련이 되어있지 않다. 그나마 훈련이 되어 있는 학생들이라면 독서역량이 매우 뛰어난 학생이라면 얘기가 달라지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다지 훈련되어 있지 않아 어려워하는 것이다.
그래도 문법이나 문학은 내신을 열심히 준비하다보면, 수능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데 비문학은 평소 훈련을 하지 않아 아예 따로 공부해야 한다. 내신을 열심히 준비하는 학생들일수록 비문학을 공부할 시간은 점점 더 줄어들게 된다. 이것을 고3 수능을 앞두고 준비하니 마음만 급하다.
[출처 : https://www.ebsi.co.kr/ebs/ent/enta/retrieveEntNewsView.ebs 이아영 기자]